Notice
Recent Posts
Recent Comments
Link
«   2025/07   »
1 2 3 4 5
6 7 8 9 10 11 12
13 14 15 16 17 18 19
20 21 22 23 24 25 26
27 28 29 30 31
Archives
Today
Total
관리 메뉴

Analyze by Kinesis

Mabinogi Client - Folder Tree Structure Analyze. 본문

Game Client Analyzes/Mabinogi Online

Mabinogi Client - Folder Tree Structure Analyze.

Kinesis 2010. 6. 3. 14:24

Mabinogi Client - Folder Tree Structure Analyze.
마비노기 클라이언트 - 폴더 트리 구조 분석




이 글은 온라인 게임 마비노기 클라이언트를 분석한 자료 입니다.
これは Online Game - Mabinogi を分析したことです。
This is anlyzed the mabinogi client.

2004년 6월경 정식서비스를 시작한 Nexon 에서 서비스하고 Devcat 팀에서 개발한 온라인 게임 마비노기 는 현재까지 서비스가 이루어지고 있는 온라인 게임 중 하나이다.

이 카테고리 에서는 이 마비노기에 대한 분석 내용을 정리하도록 한다.

※ 일부 틀리는 곳이 존재할 수도 있습니다.
※ 자료 분석은 한국 클라이언트를 바탕으로 합니다.

※ 주의! 본 자료는 순수히 학구적인 클라이언트 분석의 목적으로 작성된 글로서 개인의 이익을 위해 이용함으로 인해 발생되는 사고에 관하여는 책임지지 않습니다.



게시물 작성일 : 2010. 06. 03.
게시물 작성자 : by Kinesis (김해광)
참고 자료 - Null
게시물 수정내용 - null



♪ Mabinogi Folder Tree.

2010년 06월 03일 기준 작성.

마비노기 클라이언트의 폴더 구조는 왼쪽에서 보는 그림과 같다.

기본 부모가 되는 Mabinogi Client 폴더 안에 HSield, movie, mp3, package, system 이라는 5개의 Serv 폴더를 가지고 있으며, 각각의 Serv 폴더들은 필요에 의한 부수적인 Serv 폴더를 보유하는 트리 형태를 이룬다.

기본적인 Mabinogi Client 자체 폴더를 제외하고 5개의 Serv 폴더에서 게임을 보호하기 위한 기능인 Anlab 사의 HackShield 인 HShield 폴더를 제외하면 Mabinogi Client 를 주요 구성하는 Serv 폴더는 4개로 줄어든다.

즉, movie, mp3, package, system 총 4가지를 주요깊게 바라봐야 한다고 말할 수 있다.

4개의 Serv 폴더를 바탕으로 클라이언트를 구성하는 각각의 요소가 나눠져 있는 만큼 각각의 폴더가 어떠한 역할을 하는지 우선 알아볼 필요가 있다.



! Mabinogi Cilent Folder.
Main 이 되는 마비노기 클라이언트 폴더라고 할 수 있으며, Launcher 인 Mabinogi.exe 파일 과 실질적인 Client body 인 Client.exe 파일 및 각종 DLL 파일이 위치한다.

- Mabinogi.exe
: 실질적인 Client 프로그램을 가동하는 Launcher 로서의 역할을 하는 실행파일이다. 업데이트 확인 및 서버 상태를 체크하여 클라이언트를 실행하는지에 대한 여부를 반환하여 상황에 따라 Client 를 실행하는 역할을 담당한다.

- Client.exe
: 실질적인 Client 의 Boby 에 해당하는 실행파일로서, 런처에 의해 작동하며 실질적으로 게임을 진행할 수 있게 하는 몸체로서의 역할을 수행한다.

- default.reg
: 마비노기의 기본 레지스터리 값이 저장되어 있는 레지스터리 파일이다. 클라이언트의 화면 크기를 정하는 Width, Height 값으로 부터 시작하여 윈도우모드 사용여부를 결정하는 IsWindowed 값 등, 게임상에서 설정하는 대부분의 설정값이 기본적으로 세팅되어 저장되어 있는 레지스터리 파일이다.


- Uploader.dat
- va.dat
- vacache.dat
- version.dat
: 업데이트를 진행하기 위해 필요한 현재 클라이언트의 버젼 정보가 담겨져 있다. (HEX)



! Movie Folder. - Serv Folder.
마비노기 클라이언트에서 사용되는 영상에 관한 자료들이 분류되어 있는 폴더로서 2010년 06월 03일 기준 확인한 바로는 wmv 확장자의 동영상 4개 bik 확장자의 동영상 3개 총 7개의 영상들이 분류되어 있다.

단지 동영상을 분류하기 위해 만들어진 폴더일 뿐, 게임내의 요소적 면으로 바라볼 때 중요도는 다소 떨어지는 폴더라고 할 수 있다.





! MP3 Folder. - Serv Folder.

게임에서 사용되는 mp3 파일들이 분류되는 폴더로서 클라이언트 실행시 초기 Title 화면에서 재생되는 MP3 파일에서 비롯하여 NPC 대화등에 의한 배경음악 MP3 들이 분류되어있는 폴더이다.

각 상황에 따라 기본 배경음악 MP3를 자신이 원하는 MP3 파일로 대체하여 주는 것으로 인하여 상황에 따른 배경음악을 바꿔볼 수 있다는 점 외에는 movie 폴더와 마찬가지 게임내 요소를 이루는 중요도는 떨어지는 폴더로 구분할 수 있다.



! PACKAGE Folder. - Serv Folder.
게임 클라이언트를 통하여 구현되는 게임세계의 요소들이 압축된 패키지 파일이 들어 있는 폴더로서 마비노기에서 사용되는 각종 object 들이 package 화 되어 보관되는 폴더로서 version_full.pack 형태를 띈 파일로 구성되어진다. 패치로 인해 변경되거나 추가된 사항은 beforeversion_to_afterversion.pack 형태로 폴더 내에 생성되며, 클라이언트 실행시 본 폴더에 존재하는 pack 파일을 로드하여 클라이언트에 반영한다.

게임 클라이언트를 구성하는 모든 object 가 들어 있는 만큼 중요도가 높은 폴더이자, Unpack / Repack 을 통하여 간단한 클라이언트 변형도 시도해 볼 수 있는 package 보관 폴더이다.



! SYSTEM Folder. - Serv Folder.
마비노기 클라이언트 시스템과 관련된 데이터가 있는 폴더로 게임 내 사운드 및 요일효과 등에 관련된 시스템을 담당하는 자료들로 구성되어 있다. 정확하게 분석을 끝낸 것은 아니라 정확하게 어떻다 라고는 확정할 수는 없다.

Comments